요즘 집값이 많이올라서 전세값도 덩달아 많이 뛰어올랐습니다. 전세대출은 한국주택금융공사(HF)와 한국주택보증공사(HUG)에서 보증하는 공적대출과 SGI서울보증보험에서 보증하는 사적대출이 있습니다. 전세자금대출은 보증하는 기관에 따라 각각 조건이 다른데 한번 알아볼까요?
한국주택금융공사(HF) 전세자금대출
신청 대상
-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임차보증금 5% 이상 지급한 세대주
- 본인과 배우자 합산 주택보유자 1주택 이내(1주택인 경우 배우자 합산 연소득 1억원 이하, 보유주택 가격 9억원 이하)
10.1 부동산규제로 1주택 보유자는 시세 9억원 초과인 주택의 전세대출은 불가합니다.
한도
- 최대 2억원(임차보증금 80% 이내)
금리
- 연 2.6~3.1%
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 공시되어 있는 금리입니다. 은행별 평균 금리에요. 2억원 대출시 연 3% 금리가 적용된다면 매달 50만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.
보증료
- 연 0.05~0.30%
보증료는 대출자가 납부합니다. 2억원대출시 연간 30만원의 보증료가 필요합니다.
취급 금융기관
1금융권 시중 은행에서 취급합니다. 은행에 가서 신청하면 되며, 신규로 계약할 경우 잔금지급일과 주민등록전입일 중 빠른날로부터 3개월 되는날 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.
SGI서울보증 전세자금대출
신청 대상
-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임차보증금 5% 이상 지급한 세대주
- 본인과 배우자 합산 주택보유자 1주택 이내(1주택인 경우 보유주택 가격 9억원 이하)
10.1 부동산규제로 1주택 보유자는 시세 9억원 초과인 주택의 전세대출은 불가합니다.
한도
- 최대 5억원(임차보증금 80% 이내)
금리
- 연 3.0~3.5%
HF 전세자금대출보다 금리는 보통 0.3~0.5% 정도 높습니다. 2억원 대출시 연 3.5% 금리가 적용된다면 매달 58만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.
보증료
은행이 지급. 대출자는 보증료 납부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.
취급 금융기관
1금융권 시중은행에서 취급합니다. 잔금지급일과 주민등록전입일 중 빠른날로부터 3개월 되는날 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.
비교정리
HF와 SGI서울보증보험의 전세자금대출 요약정리입니다.
구분 |
HF |
SGI | |
한도 |
2억원 (임차보증금 80%) |
5억원 (임차보증금 80%) | |
대상주택 |
임차보증금 5억원 이하 주택 |
제한 없음 | |
주택수 제한 |
무주택자 |
제한없음 |
제한없음 |
1주택자 |
시세 9억원 초과 대출불가 |
시세 9억원 초과 대출불가 | |
2주택자 이상 |
대출불가 |
대출불가 | |
소득 제한 |
무주택자 |
제한없음 |
제한없음 |
1주택자 |
부부합산 연소득 1억원 이하 |
제한없음 | |
보증료 |
연 0.05~0.30% |
은행 부담 | |
집주인 동의 |
필요없음 |
필요 |
임차보증금 2억원을 HF와 SGI에서 각각 빌리는 경우 2년간 발생하는 비용은 얼마나 될까요?
금리 : 2억 x 3.0% = 연 600만원
보증료 : 2억 x 0.15% = 연 30만원
2년 TTL : 1200+60 = 1260만원
SGI 금리 연 3.5% 인 경우
금리 : 2억 x 3.5% = 연 700만원
2년 TTL : 1400만원
임차보증금이 2억원 정도 필요한 경우 HF에서 보증받는 것이 비용면에서는 유리합니다. 2억원 이상 필요할시에는 SGI 서울보증보험 밖에 선택지는 없습니다.